질문 - 메시지가 어떻게 흘러가는가 - HTTP 메시지의 세부분 (시작줄, 헤더, 개체 본문) - 요청과 응답 메시지 차이 - 요청 메시지가 지원하는 여러 기능(메서드)들 - 응답 메시지가 반환하는 여러 상태 코드들 - 여러 HTTP 헤더들은 무슨일을 하는가 3.1 메시지의 흐름 http메시지는 http 어플리케이션 간에 주고받은 데이터 블록들이다. 3.1.1 메시지는 원 서버 방향을 인바운드로 하여 송신된다. 메시지가 원 서버로 향하는 것은 인바운드로 향하는것. 모든 처리가 끝난 뒤에 메시지가 사용자 에이전트로 돌아오는 것은 아웃바운드로 이동하는 것이다. 3.1.2 다운스트림으로 흐르는 메시지 HTTP 메시지는 강물과 같이 흐른다. 요청/응답 메시지에 관계없이 모든 메시지는 다운스트림을 흐른다. 메시지..
URL은 인터넷의 리소스를 가리키는 표준이름이다. 이 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지 체크하자. - URL문법, 여러 URL 컴포넌트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무엇을 수행하는지 - 어려 웹 클라이언트가 지원하는 상대 URL과 확장 URL 같은 단축 URL에 대해 - URL의 인코딩과 문자 규칙 - 여러 인터넷 정보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통 URL 스킴 - 기존 이름은 유지하면서 객체들을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URN을 포함한 URL의 미래 2.1 인터넷의 리소스 탐색하기 URL은 브라우저 정보를 찾는데 필요한 리소스읠 위치를 가리킨다. URI는 URL + URN이며, URN은 현재 그 리소스가 어디에 존재하든 상관없이 그 이름만으로 리소스를 식별하는데 비해서, URL은 리소스가 어디있..
전 세계의 웹브라우저,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HTTP를 통해 서로 대화한다. 즉, HTTP은 현대 인터넷의 공용어다. 당신은 면접에서 아래 주제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을때 대답할 수 있는가? - 얼마나 많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지 -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 웹 트랜잭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 HTTP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의 형식 - HTTP 기저의 TCP 네트워크 전송 - 여러 종류의 HTTP 프로토콜 - 인터넷 곳곳에 설치된 다양한 HTTP 구성요소 1.1 HTTP: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배달부 - HTTP는 전 세계의 웹 서버로부터 이 대량의 정보를 빠르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사람들의 PC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로 옮겨준다. - HTT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
https://brunch.co.kr/@sooperbook/11 07화 말을 예쁘게 하는 사람 이상하네, 이 사람이랑 이야기하면 기분이 좋아지네 | 내 말투는 리액션 좋은 수간호사 화법 '수간호사 화법'. 누군가 내 말투를 보고 묘사한 단어였다. 내 직업은 간호사와는 거리가 멀다. 다만, brunch.co.kr ## 말을 예쁘게 하는 사람은 '고맙다' '미안하다'를 잘하는 사람 말을 예쁘게 하는 사람일 수록 평상시 '고맙다', '미안하다'는 표현을 잘한다. 상대도 당연히 알겠지 싶은 마음 또는 습관이 안되어서 입에서 잘 안나오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개는 말을 이쁘게 하는 사람이 작은 것에 고맙다거나 미안하다는 서두와 끝인사를 잘한다. 예를들어, 초대손님 수가 한정된 자리인데 저를 이렇게 초대해주셔서 감사..
요새 react-native를 배우는 사람들이 눈에 조금씩 들어옵니다. (내가 배우고 있어서 그른가 👀) 아마 회사에서 모바일앱을 계획하고 있는데 앱 개발자 리소스가 부족하거나 웹 개발자로 웹프로젝트와 IOS/안드로이드 모바일 환경 대응 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스택의 이유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flutter도 각광받지만, 웹 개발자는 보통 react를 알고 있기 때문에 아무대로 react-native를 배우는 것이 러닝커브가 상대적으로 낮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제 react-native를 배워야하는 사람들이 미리 알아두면 좋은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결국 누군가의 삽질은 누군가에게 큰 도움이 될것이라고 믿기(?) 때문이지요. 1. 처음엔 책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가..
M1맥북에서 pod install시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pod install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을 Rosetta로 실행시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파인더에서 vs code에 포커스를 맞춥니다. 2. Cmd+i를 눌러 해당 프로그램의 정보를 봅니다. 3.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를 클릭하고, vs code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합니다. 4. pod install을 하여 제대로 설치가 되는지 확인합니다. 5. pod install 명령어를 terminal이나 iterm에서 수행하고 있다면, 해당 앱들에도 똑같이 해줍니다.
1. 제이콥의 법칙 세계적인 UX컨설팅 그룹 닐슨 노먼 그룹의 창시자인 제이콜 닐슨이 만든거.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를 경험하며 누적된 UX를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도 이해하려는 특성. 만약에 회원가입이나 로그인같은 기본과정이 어렵게 설계되었다면, 제이콥의 법칙이 작동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새롭게 학습해야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2. 피츠의 법칙 무엇을 획득하는데 드는 시간은 대상의 크기와 위치한 거리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대상이 작을 수록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당연한말이지만 인터페이스 설계시에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 예를들어 CTA버튼이 엄지손가락이 닿지 않는 위치에 디자인하는 실수를 종종하는데 피츠의 법칙이 잘지켜지지 않은것. 3. 힉의 법칙 사용자가 대상과 인터렉션할때 주어진 선택지 수에 따라 ..
리액트 기반 프로젝트에서 컴포넌트를 일반함수/화살표함수로 선언한것을 혼용한것을 봤어도, 클래스 컴포넌트와 함수 컴포넌트를 혼용하는 것은 본적이 없었다. 평소에는 화살표함수로 컴포넌트를 작성하되, 재사용/선언형 코드/상태로직 분리의 목적으로 커스텀훅을 주로 사용했었다. 그럼 클래스 컴포넌트를 만났을때, 커스텀훅을 클래스 컴포넌트에 적용해야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클래스 컴포넌트를 함수로 바꾸세요 ㄹㅇㅋㅋ도 가능하겠지만, 입장을 바꿔서 클래스 컴포넌트인 거대한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을 함수 컴포넌트 + 커스텀 훅 패러다임으로 구현한다고 하고, 그 기한이 짧은 경우로 생각해보자.) 아래는 Toast 컴포넌트를 전역에다가 선언해주는 Provider이고 그 아래는 hook이다. // Hook const u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