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ef of Wealth
2021/09/29 : 댓글 알림에 websocket을 사용했다.
개발/개발 리포트 2021. 9. 30. 10:14

댓글이 달렸으면 어떻게든 알람을 통해서, 답글의 대상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상식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기능을 도입하기 위해서, 백엔드 크루가 websocket을 통한 실시간 알림으로 구현해보는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여기서 websocket이란 무엇인가? 웹소켓은 웹에서 TCP Socket을 구현한것이라 생각하면된다. 기존의 http요청은 stateless하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서 쿠키라는 것이 존재했다. 하지만 소켓을 사용하면 지속적인 connection이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유지가 되게되고, 서로를 listen하는 상태가 된다. (비유하자면 http요청은 편지이고, socket은 전화통화 연결이다.) 댓글 서비스가, 특정 서버의 api를 구독하고 있으면 서버가 api를 보낼..

article thumbnail
구글 검색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았다
개발/자기계발 2021. 9. 29. 16:35

갑자기 특정 블로그 포스트가 조회수가 올라갔다. 그냥 여기저기 있던 글들을 복붙해가며 짜집기해서 내가 보려고 정리했던 글이다. 그냥 내 주관적인 의견따윈 없었던 글이고, 문장 형식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근데 저렇게 toast 보다 높게 추천이 걸렸으니 어그로가 끌릴만하다. 오타와 정제되지 문장들이 많은데 빠르게 수정해겠다. 왜 하필 저게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은거지.. 덕분에 다시 글을 정제하느라 이벤트 루프에 대한 복습도 했다. ㅎㅅㅎ

2021/09/28 : webpack5의 기본 제공기능을 사용하자
개발/개발 리포트 2021. 9. 29. 00:17

webpack의 버전이 나날이 높아질수록, webpack 자체 라이브러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minimize등이 대표적이다. 나는 번들할때마다 번들폴더를 비워주는 CleanWebpackPlugin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른 크루가 output의 clean: true로 기본 제공을 해주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깔끔하게 제거했다! 해당커밋: chore: CleanWebpackPlugin 제거 (webpack5 내장)

작은 축하와 보상들이 번아웃을 막는다.
개발/자기계발 2021. 9. 28. 09:40

다들 들어봤겠지만, 사람의 뇌는 도파민을 분비함으로써 쾌락을 느낀다. 어떤 행동을 했을때, 뇌가 도파민을 분비하고, 더 높은 쾌락을 느끼기위해서 해당 행복을 반복하므로써 생기는 것이 습관이다. 그리고 이런 습관들을 이용해서 꾸준한 성장을 하고, 번아웃을 예방하며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무기가 된다. 그러므로, 개발자처럼 하루하루를 열심히 일하고 성장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작은 단위 축하나 보상들이 필수적이다. (큰 단위의 축하나, 보상들은 보통 그 텀이 길기때문에 그 사이에 번아웃이 올 수도 있다.) 만약 운동을 해야한다는 목표가 있으면, 운동을 조금 하고나서, 약간의 보상을 줌으로써 도파민을 분비하게 하고, 지속적인 습관을 이어나가보자!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면 좋다. https://www.youtu..

2021/09/27 : 이미 존재하는 API 객체를 적극 활용하자 (feat. MessageChannelAPI)
개발/개발 리포트 2021. 9. 27. 16:50

javascript에는 이미 구현된 API 객체가 많다. 쿼리 스트링을 담당하는 URLSearchParams가 있을 것이고, 주소를 다루는 URL이 있을 것이고, 데이터를 다루는 Date도 있을 것이다. 또한, iframe간의 통신을 다루는 MessageChannelAPI도 있을것이다. 이미 존재하는 API객체를 사용하면 장점이 있다. 1. 해당 역할을 온전히 API객체에 위임하여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어서, 쿼리스트링은 다음과 같은 하드코딩으로 직접 구현할 수 있다. `/index.html?$projectKey={projectKey}` 하지만, 이러한 하드코딩 방식은 복잡해질수록 휴먼에러를 발생시킬 확률이 높다. 이미존재하는 URLSearchParamsAPI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된다. co..

2021/09/26 : 수많은 if문을 Object Literal로 바꾸자
개발/개발 리포트 2021. 9. 26. 23:53

조건문이 많아지면, 코드의 가독성이 나빠지는 것은 많이 느껴보았을 것이다. switch같은 구문도 있지만, if문과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모든 if문을 Object Literal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Object Literal로 바꾸게되면 장점이 있다. 1. 바로 조건검사 로직을 특정 객체에 위임할 수 있는 것이다. 결이 같은 로직을 특정 객체가 담당하므로써, 유지보수와 디버깅 시에 원인을 빠르게 특정하고 개선할 수 있다. 더불어 가독성도 개선된다. 2. 코드의 길이가 줄어든다. 지금까지는 새로운 조건이 추가될때마다 if문과 === 또는 !== 로직을 반복해서 써주어야했다면, 이제는 객체의 Property만 1개더 추가해주면 된다. 즉, 변경엔 닫혀있고 확장엔 열리는 OCP원칙을 만족..

우테코 막바지 잠깐 회고
개발/자기계발 2021. 9. 26. 16:13

우테코 전에는 상상하기만해도 설레었던 생각들이 있었다. 우아한형제들에 입사하면 정말 행복할것 같아. 밤을 새워서 어떤 프로젝트에 팀끼리 으쌰으쌰 매달리는거 너무 재밌겠다. 프로그래밍에 열정가득하고 똑똑한 사람들이 모인 집단에 속하면 매일매일이 행복하겠당! 지금도 이런 생각은 설레이긴하지만, 우테코를 하며 정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성장한, 우테코 막바지인 지금은 새로운 설레이는 생각들이 생겼다. 내 의견을 통해서 새로운 팀문화가 정착된다면 정말 뿌듯할것 같아. 내가 참여한 서비스를 제 3자가 자발적으로 사용해서 칭찬이 섞인 피드백을 해준다면 행복할것 같아. 테스트 코드 커버리지가 80%이상이면 진짜 뿌듯하겠다. 제 3자가 읽어도 무리가 없는, 냄새가 나지 않는 코드로 모두 리팩터링하고 싶다. 할 때까지 자고..

Giver의 마인드
개발/자기계발 2021. 9. 26. 15:41

평소에 자기계발서와 동영상을 즐겨보는데, 옛날에 감명깊게 느꼈던 명언들을 이 동영상을 보고 다시 기억이나서 기록에 남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_doMBFESy0&ab_channel=%EC%8A%A4%EC%BC%80%EC%B9%98%EA%B5%BF 동영상은 부자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라고 되어있어서, 금융에 관련된 동영상인줄 알았지만, 내용의 핵심은 "마인드"이다. 내가 어떻게 받을것인지 고민하는 것보다, 내가 세상에 어떻게 기여하고 공동체에 무엇을 줄것인지에 대한 마인드를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사실 이 마인드는 모든 자기계발의 공통적인 기본기처럼 여겨진다. 근거로, 베스트셀러인 미움받을 용기에서도 비슷한 맥락의 용어들이 많이 나온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고, 공..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