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ef of Wealth
[JSP] JSP include 디렉티브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4:32

JSP page에서는 page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내용이 있을때, 이런 내용들을 별도의 파일에 저장했다가 JSP페이지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드가 그대로 복사되어 같이 컴파일된다. (나중에 배울 액션 태그는 결과만 같이 컴파일됨) color.jsp에 이렇게 정의해놓으면 다른 jsp에서 로 불러오기 가능.

[JSP] JSP 페이지 디렉티브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3:55

JSP 페이지의 디렉티브 (directive)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JSP페이지가 실행될 때 필요한 정보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요한 정보를 JSP 컨테이너에게 알려서 어떻게 처리하도록 하는 지시자이다. 디렉티브는 태그 안에서 @로 시작하며, page, include, taglib 등 3가지 종류로 나뉘어 쓰인다. 1. page 디렉티브 page 디렉티브는 서버에 요청한 결과를 응답받았을 때 생성되는 페이지의 타입, 스크립트 언어, import할 클래스, 세션 및 버퍼의 사용 여부, 버퍼의 크기 등 JSP page에서 필요한 설정 정보를 표현한다. 1) info: JSP 페이지를 설명하는 문자열을 넣는다. 2) language: JSP page의 로직을 기술하는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용할 프로그래..

[JSP] JSP 처리과정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3:28

JSP 동적 프로젝트를 작성하면, Server폴더와 자신이 만든 jsp가 들어갈 폴더, (여기서는 test폴더라고 지칭) 가 생성된다. Server 폴더에는 이클립스의 가상환경 웹서버의 설정파일이 들어가 있고, test폴더에는 이클립스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되는 동적 웹 프로젝트 파일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Java Resourses/src 에 내부 로직을 담당하는 Servlet파일이 java형태로 저장되어 있고,WebContent 내에는 JSP파일들이 있을 것이다. 이제 JSP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UI를 통해서 어떤 jsp파일을 호출한다. 2. 웹 서버는 요청한 해당 페이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JSP컨테이너에 처리를 넘긴다. 3. 해당 JSP파일이 처음 요청..

JSP tomcat 경로 변경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3:10

이클립스의 WIndow -> Preference -> Server -> Classpath -> User entry에서 새로 잡아줌.

[JSP] 아파치 톰캣 tomcat이란?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1:20

톰캣은 웹 컨테이너이다. 톰캣은 J2EE영역을 제공하는 웹 컨테이너이다. 톰캣은 JSP및 Servlet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는 웹 컨테이너로, 웹서버와 웹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파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tomcat만으로 JSP및 Servlet을 학습하는데는 충분. ※ 웹 컨테이너란? 웹 컨테이너는 JSP와 Servlet에 대한 실행환경을 제공한다.컨테이너를 구성하는 3가지 기술1) Servlet : 서버쪽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2) JSP : 컴포넌트를 웹 페이지에 내장시켜 통합시킬 수 있는 것, html, java, javabean을 하나의 웹 페이지 내에 구현가능서블릿을 한 차원더 확장 시킨것.3) EJB ( Enterprise Java Bean ) : EJB은 확..

[JSP] 웹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식 및 구현 방식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8. 00:26

웹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데는 CGI방식과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의 기본적인 처리 구조는 같으나 웹 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5명의 사용자가 abc라는 페이지를 요청했고, 거기에는 ABC라는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요청에 대해 CGI 방식과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방식이 각각 어떤 식으로 처리하는지 알아보자. 1) CGI ( Common Gateway Interface ) 방식 CGI방식은 웹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호출하는 구조이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1개의 요청에 대해 1개의 프로세스가 생성되어서 그 요청을 처리한뒤 종료한다. => 수많은 요청에 대해서 하나의 요청마다 새로..

[JSP]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및 구성 요소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7. 16:09

웹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순서는 1.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어떠한 페이지를 요청하게 되면2. 해당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서 요청된 페이지의 로직 및 DB와의 연동을 위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처리를 요청하고3. 이때 웹어플리케이션서버는 DB와의 연동이 필요한 경우 이를 처리하고4. 로직 및 DB작업의 처리 결과를 웹 서버에 돌려보내고5.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에 결과를 응답한다. 각 요소별로 정리하자면, - 웹 브라우저: 웹에서 클라이언트이며 사용자의 작업창이다. ex) 크롬창 - 웹 서버: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ex) 아파지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요청된 페이지의 로직 및 DB와의 연동을 담당한다. ex) 아파지 톰캣 - DB: 데이터의 저장소이다. ex) My..

[JSP] Servlet과 JSP란?
개발/Web Programming 2019. 11. 27. 16:02

1) Servlet ( Server + Applet ) : 서블릿은 오라클에서 발표한 기술로서, 자바를 기반으로하는 동적 웹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서블릿은 멀티쓰레딩에 의해 사용자 요구를 처리하고 가공해서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응답한다. 서블릿은 자바 프로그램과 작성하는 형식이 거의 같기 때문에, 자바를 학습하지 않으면 작성하기 어렵다는 단점과 자바코드안에 HTML태그가 혼재되어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2) JSP ( Java Server Page ) : JSP는 서블릿과 마찬가지로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데, 서블릿보다는 자바 코드에 덜 의존적이라서, 더 쉽고 편하게 프로그래밍할수 있다.JSP와 서블릿은 같은 처리 구조를 가지며, 페이지의 요청이 있을 시 최초 한 번 자바코드..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