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탭의 generate getter/setter을 선택하고 만들고자 하는 변수를 선택하면 된다.
JSP페이지에서 화면 표시 부분과 로직들이 함께 존재하는 코드는 재사용하기가 어렵다.JSP페이지를 작성하면 페이지의 구조가 비슷한 형태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이다.전혀 다른 성격의 프로젝트이라도 항상 기본적인 구조는 똑같다.따라서 비슷한 작업을 매번 반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JSP 페이지에 화면 표시 부분과 로직들이 함께 존재해서 복잡하게 구성되는 것을 가능한 피하고, JSP페이지의 로직 부분을 분리해서 코드를 재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자바빈의 목적이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Events
jQuery 는 예전에 배워놓고 nomad coder아저씨가 안쓰는게 좋다는 뉘양스로 말해서 다 잊었는데, JSP를 공부하고, Ajax를 공부하다보니 다들 jQuery의 Ajax를 간편하게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일단 공부할때만 jQuery로 하고, javascript로 Ajax구현한것을 체화해서 써야겠다. 일단 정리한다. 사용 예제$(document).ready(function(){$("#b1").click(function(){$("#b2").text($("p").text())});$("#b2").click(function(){$("#display").html("")});}); 1) 마우스 이벤트 - click: 엘리먼트 클릭 시 발생 - dbclick: 엘리먼트 더블클릭 시 발생 - mouseent..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518428/eclipse-how-do-i-refresh-an-entire-workspace-f5-doesnt-do-it 1. 전체선택 후 F5 2. preference -> general -> workspace -> refresh관련항목보고 체크
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 XML ) Ajax의 비동기적 통신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웹 브라우저는 요청을 송신하면 응답을 기다리지 않는다.2. 서버는 필요한 데이터만을 응답한다. 동작순서 1.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일어난 요청이 서버측에 송신된다.이때 요청은 XMLHttpRequest 객체에 의해 송신된다. ※ XMLHttpRequest?HTTP를 사용한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객체로, Ajax에서 데이터의 전송은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한다.XMLHttpRequest 객체의 이름에 있는 XML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 XML데이터의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이나, html,text형식의 데이터도 사용..
1)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에 응답하는 페이지의 화면 출력 시 한글처리 웹 브라우저로 응답되는 페이지를 화면에 출력할 때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처리이므로, 모든 페이지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2)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넘어오는 파라미터 값에 한글이 있는 경우 (Post) 3)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넘어오는 파라미터 값에 한글이 있는 경우 (GET) 이 경우에는 방식도 소용없다. 이런 경우에는 server.xml 파일의 한글 인코딩을 지정해야한다. 이클립스의 경우 Project Explorer -> Servers -> Tomcat v8.5 Server에 있는 server.xml이다.
JSP를 구성한느 요소 중 하나인 스크립트 요소에는 선언문/ 스크립트릿/ 표현식 등이 있다. 1) 선언문: JSP페이지에서 전역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할때 사용한다. ex) 2) 스크립트릿: JSP프로그램 처리와 관련된 코드를 기술할 때 사용. 혹시나 스크립트릿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로 쓰인다. ex) 3) 표현식: 화면에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예제코드DOCTYPE html>Insert title here 5 ){%>var1는 5보다 크다.var1는 5보 이하이다. 4) 주석 html 주석은 => 소스보기로 보임JSP 주석은 => 소스보기로 안보임java 주석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