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페이지의 디렉티브 (directive)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JSP페이지가 실행될 때 필요한 정보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요한 정보를 JSP 컨테이너에게 알려서 어떻게 처리하도록 하는 지시자이다.
디렉티브는 태그 안에서 @로 시작하며, page, include, taglib 등 3가지 종류로 나뉘어 쓰인다.
1. page 디렉티브 <%@page%>
page 디렉티브는 서버에 요청한 결과를 응답받았을 때 생성되는 페이지의 타입, 스크립트 언어, import할 클래스, 세션 및 버퍼의 사용 여부, 버퍼의 크기 등 JSP page에서 필요한 설정 정보를 표현한다.
1) info
: JSP 페이지를 설명하는 문자열을 넣는다.
<%@ page info = "저작권자는 나다"%>
2) language
: JSP page의 로직을 기술하는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정한다. 기본값은 java
<%@ page language="java">
3) contentType
: JSP page의 내용이 어떤 타입의 문서로 생성되는지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text/html(기본값), text/plain, text/xml 등으로 정할 수 있다.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4) extends
: 현재 JSP page가 상속받을 클래스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사용할일이 거의 없다.
5) import
JSP page에서 다른 위치에 있는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쓴다.
import는 page 디렉티브 속성 중에서 유일하게 중복사용이 가능하다.
<%@page import="java.util.*"%>
6) session
: JSP page가 httpsession을 사용할지 여부를 지정한다.
true면 세션이 없으면 만들고 있으면 유지한다. false면 세션에 관한 노력을 아예 하지 않는다.
<%@page session=''true"%>
7) buffer
: JSP page의 출력 버퍼의 크기를 지정한는 속성으로 기본값은 8Kb
"none"으로 주면 출력버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믜로, 출력될 JSP내용이 버퍼를 거치지 않고 출력된다.
<%@page buffer="8kb"%> 또는 <%@page buffer="none"%>
8) autoFlush
: JSP page의 내용들이 웹 브라우저에 출력되기 전에 출력 버퍼가 다 찰 경우 내용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true"면 버퍼가 다 찰 경우 자동적으로 버퍼의 내용을 출력하고 버퍼는 비워진다.
buffer값읋 "none"으로 하면 "false" 할 수 없다.
<%@page autioFlush="true"%>
9) isThreadSafe
: JSP page에서 멀티 쓰레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속성으로 기본값이 "true"이다.
즉, JSP page가 다수의 웹 브라우저의 접근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false"로 두면 한번에 1개의 요청을 처리하므로, 많은 시간이 걸린다.
<%@page isThreadSafe="true"%>
10) errorPage
: JSP page를 처리하는 도중에 해당 페이지에서 예외가 발생할경우 예외를 처리할 페이지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page errorPage="errorPro.jsp"%>
11. isErrorPage
: 현재 JSP page가 일반적인 페이지인지, 에러처리용인지 결정한다.
<%@page isErrorPage="true"%>
12) pageEncoding
: JSP page에서 사용되는 인코딩 방식을 정한다.
기본값은 ISO-8859-1이다.
<%@page pageEncoding = "utf-8"%>
'개발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페이지의 스크립트 요소 (0) | 2019.11.28 |
---|---|
[JSP] JSP include 디렉티브 (0) | 2019.11.28 |
[JSP] JSP 처리과정 (1) | 2019.11.28 |
JSP tomcat 경로 변경 (0) | 2019.11.28 |
[JSP] 아파치 톰캣 tomcat이란?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