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망치는 최악의 변명
https://www.youtube.com/watch?v=0LrtePPwedM
이게 노력인가 재능인가라는 각자마다의 생각이 있을 것이다.
부지런해야한다 무조건
게으른 건 어떤 것도 변명이 될 수 없다.
여러분이 어떤 필드에 있든 어떤 걸 하든 어떤 곳을 바라보고 있든
그런건 여러분한테 플러스 알파가 절대 될 수 없다. 마이너스 알파이다.
그러기 때문에
무조건 올바른 방법으로 노력해야한다.
그러면 누구나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다.
지름길은 없다.
1만 시간의 법칙의 안데르스 에릭슨이라는 사람이 있다.
되게 유명한 사람인데, 무엇으로 유명하냐면,
대가를 연구하는 대가로 유명하다.
이 대가들이, 최고의 슈퍼스타들이, 최고의 프로들이
어떻게 그렇게 성장했는가를 연구하는데 대가인 것이다.
자기가 있던 연구소 근처에 베를린 예술 종합 대학교가 있었는데 (우리로 치면 한예종)
예술에 대해서 거의 최고급 실력이 있는 독일 아이들이 가는 학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예술 학교 중에 특히나 음악 분야 중에서도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아이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그 학교의 아이들을 3그룹으로 나누었다.
A그룹은 최우수 등급.
이 아이들은 향후 슈퍼스타가 될 수 있는 재목이 있는 아이들
B그룹은 우수 등급.
슈퍼스타는 아니어도, 프로정도는 될 수 있는 아이들
C그룹은 양호 등급.
음악 교사정도 될 수 있는 아이들
일주일 동안 시간을 줄테니까, 모든 배우는 과정을 15분마다 적게했다.
일주일 정도 지나면, 이 아이가 어떻게 바이올린을 공부하는지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3그룹 모든 아이들이 비슷한 얘기를 했다.
자기 실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게 뭐다?
=> 혼자 연습하는 시간이다.
음악을 듣거나 같이 합주하는 시간이 아니라, 혼자 연습하는 시간이다.
실제로 이 음악학교에 간 아이들은 평범한 아이들이 아니고, 나중에 대부분 프로가 되려고 하는 아이들이었는데, 이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실력향상에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 무엇이냐.
바로 혼자하는 연습이다.
하지만 다른게 있었는데, 혼자 연습을 얼마나 했냐고 물어봤다.
양호 그룹 같은 경우는 평균적으로 3400시간 정도 혼자 연습했고,
우수 그룹 같은 경우는 평균적으로 5300시간 정도 혼자 연습했고,
최고 그룹 같은 경우는 7400 시간을 혼자 연습했다.
뒤지게 많이 해야하네?
네 뒤지게 많이 해야합니다.
최고그룹은 거의 양호 그룹보다 2배 이상을 연습했습니다.
하루에 3시간 연습할 거면 최고그룹은 6시간을 연습했던 것입니다.
우수그룹보다는 50%이상을 한것이죠.
비유적인 표현을 쓰자면, 여러분이 공부를 하는 것은, 재료를 사는거고, 수업을 듣고 혼자 연습하는 것은 요리를 하는 것이다.
지식을 얻었으면, 그걸 내가 요리해서 나만의 요리로 소화를 해내야 한다.
인강을 듣고 토론을 하는것은 지식을 얻기만 한 것이다.
그런건 재료만 산거고 아직 요리가 안된 것이다.
이제 보통 사람들은 그게 다 끝났다고 생각한다.
에릭슨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연구에서 분명하게 눈에 띄었던 점은 2가지이다.
첫째, 탁월한 바이올린 연주자가 되려면, 수천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
시간을 단축해주는 지름길 같은 것도 없었고, 비교적 적은 연습량만으로도 전문가 수준에 도달한 천재도 없었다.
다시 말해서, 노력한 시간은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라고 얘기하는 것이다.
둘째, 탁월한 재능이 있는 연주자들 사이에서도, 기술 연마에 상당히 많은 시간을 들인 사람이 연습 시간이 적은 사람보다 평균적으로 성적이 좋았다.
예를 들어서 그룹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최우수그룹내에서도 연습을 더 많이 한 사람일수록 평균적으로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실력이 좋았다.
같은 최우수등급이지만, 최우수그룹에 있어도 그중에서도 연습을 많이 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실력이 좋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노력한 시간은 매우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엄청난 시간을 투자하지 않고, 비범한 능력을 개발한 사람은 없다고 결론을 내려도 무방하다.
이게 노력인가 재능인가라는 각자마다의 생각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어떤 퍼포먼스를 보는데, 퍼포먼스 판단을 즉각적으로 해야하는데, 우리는 그 사람이 어떻게 노력하는지를 본 적이 없다.
근데 그걸 빨리이해해야 한다.
빨리 이해하는게 뭘까?
"재능있네" 얼마나 편합니까. 그냥 설명이 더 필요없이 결론지어버리면 끝이다.
이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노력해왔고 그리고 내가 노력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변명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재능은 정말고 나의 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회피할 수 있는 좋은 변명거리이다.
나는 ~에 재능이 없으니까 따위의 변명이 그런것이다.
하지만, 승자의 저주에 빠지지않는것도 중요하다.
내가 처음에 잘했기 떄문에, 이게 내 재능인줄 알고, 그리고 갔다가 망한 사람이 굉장히 많다.
재능의 실체를 우리가 알 수 없기 때문에, 보통 처음에 뭔가를 잘하면 재능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아니다.
처음 잘하는 걸로, 이 사람이 어떤 퍼포먼스를 나중에 낼지, 가늠할 수 없다.
체스나 바둑도 아이큐가 높으면 처음에는 빨리 배우지만, 프로끼리 붙으면, 아이큐와 프로의 성적간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중점적으로 얘기할 수 있는건, 노력밖에 없다.
재능은 있지만, 뭔지 모르니까 해보는 거고, 대부분 우리가 재능이라고 보여지는 것도 노력을 통해서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다.
재능의 정의는, 어떤일을 하는데 필요한 재주와 능력, 개인의 탁월한 능력과 훈련에 의하여 획득된 능력을 아울러서 이른다.
사람들은 여기서 타고만 것만 말하는데,
재능의 사전적 정의가
"훈련에 의하여 획득된 능력을 아울러 이른다."이다.
결국에는 다 노력인 것이다.
그러니까 재능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수밖에 없다.
부지런해야한다.
게으른 건 어떤 것도 변명이 될 수 없다.
여러분이 어떤 필드에 있든 어떤 걸 하든 어떤 곳을 바라보고 있든
그런건 여러분한테 플러스 알파가 절대 될 수 없다. 마이너스 알파이다.
그러기 때문에
무조건 올바른 방법으로 노력해야한다.
그러면 누구나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다.
'개발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라 죽는 원숭이 (0) | 2021.06.22 |
---|---|
오히려 일을 망치는 시간 관리 (0) | 2021.06.22 |
압도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하루 계획 (2) | 2021.06.07 |
[명상록] 제 10권 31 (0) | 2021.04.08 |
[방법서설] 2규칙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