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연결 성공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2 초 | 256 MB | 10520 | 5704 | 3321 | 52.672% |
문제
도현이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모두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허브가 있지 않아 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야 한다. 그런데 모두가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모든 컴퓨터가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a와 b가 연결이 되어 있다는 말은 a에서 b로의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에서 b를 연결하는 선이 있고, b와 c를 연결하는 선이 있으면 a와 c는 연결이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왕이면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을 최소로 하여야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 외에 다른 곳에 돈을 더 쓸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주어졌을 때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출력하라. 모든 컴퓨터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컴퓨터의 수 N (1 ≤ N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연결할 수 있는 선의 수 M (1 ≤ M ≤ 100,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2번째 줄까지 총 M개의 줄에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드는 비용이 주어진다. 이 비용의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주어지는데, 만약에 a b c 가 주어져 있다고 하면 a컴퓨터와 b컴퓨터를 연결하는데 비용이 c (1 ≤ c ≤ 10,000) 만큼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력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첫째 줄에 출력한다.
크루스칼 알고리즘도 MST 알고리즘의 일종입니다.
앞의 prim알고리즘을 푼것에 이어서, 같은 문제를 kruskal알고리즘으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kruskal알고리즘은 이전에 포스팅한 union find를 사용합니다.
union find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트리를 합치는데,
합치려는 노드들(A,B)이 각자 속한 트리의 root노드를 탐색하여, 같은 root노드면 ( A'root == B's root )
같은 트리내에 있으므로 추가하지 않고 (추가하면 cycle), 다를 때만,
조건에맞는 (A)root노드를 다른 (B)root노드의 자식으로 놓아서 같은 트리를 만들어줍니다.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익스트라 최소비용, 경로출력 (0) | 2019.05.16 |
---|---|
1916 최소비용 구하기 ( 다익스트라 ) (0) | 2019.05.14 |
union find 알고리즘 상세정리 (0) | 2019.05.10 |
Greedy 기법 (0) | 2019.05.09 |
1922 네트워크 연결 ( Prim algorithm )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