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ef of Wealth
Published 2019. 4. 2. 23:40
1012 유기농 배추 개발/알고리즘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1 초512 MB3045710264709832.979%

문제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다고 간주한다)

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놓았다.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

(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

1100000000
0100000000
0000100000
0000100000
0011000111
0000100111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1 ≤ M ≤ 50)과 세로길이 N(1 ≤ N ≤ 50),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1 ≤ K ≤ 25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0 ≤ X ≤ M-1), Y(0 ≤ Y ≤ N-1)가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최소의 배추흰지렁이 마리 수를 출력한다.



흐음 완전 기본대로 풀었는데 20ms나 나왔다. 좀더 최적화를 해야하는데...

#include <iostream>
#include <cstdlib>
#include <cstring>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struct Pair{
    int x;
    int y;
};

bool farm[51][51];
bool visited[51][51];
queue<Pair> que;
int n,m,k;

void bfs();

int main(){

    freopen("input.txt","r",stdin);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int T;
    cin>>T;

    int x,y;
    int num;
    for(int t=0; t<T; ++t){
        memset( farm, false, sizeof(farm) );
        memset( visited, false, sizeof(visited) );
        cin>>n>>m>>k;
        for(int _k=0; _k < k; ++_k){
            cin>>x>>y;
            farm[x][y] = true;
        }

        while( !que.empty() ){que.pop();}
        num=0;
        for(int i=0; i<n; ++i){
            for(int j=0; j<m; ++j){
                if( farm[i][j] && !visited[i][j] ){
                    que.push({i,j});
                    visited[i][j] = true;
                    bfs();
                    num++;
                }
            }
        }

        cout<<num<<"\n";

    }
    
    return 0;
}

void bfs(){

    Pair p;
    while(!que.empty()){

        p = que.front();
        que.pop();
        
        if( p.x-1 >= 0 && !visited[p.x-1][p.y] && farm[p.x-1][p.y] ) { //check bottom
            que.push({p.x-1,p.y}); visited[p.x-1][p.y] = true;
        }
        if( p.x+1 < n && !visited[p.x+1][p.y] && farm[p.x+1][p.y] ) { //check top
            que.push({p.x+1,p.y}); visited[p.x+1][p.y] = true;
        }
        if( p.y-1 >= 0 && !visited[p.x][p.y-1] && farm[p.x][p.y-1] ) { //check left
            que.push({p.x,p.y-1}); visited[p.x][p.y-1] = true;
        }
        if( p.y+1 < m && !visited[p.x][p.y+1] && farm[p.x][p.y+1] ) { //check right
            que.push({p.x,p.y+1}); visited[p.x][p.y+1] = true;
        }



    }

}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76 토마토  (0) 2019.04.03
1697 숨바꼭질  (0) 2019.04.03
2178 미로찾기  (0) 2019.04.02
1926 그림  (0) 2019.04.01
1919 애너그램 만들기  (0) 2019.03.31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