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ef of Wealth
Published 2019. 4. 3. 23:25
7576 토마토 개발/알고리즘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1 초256 MB4333712779814429.030%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 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어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의 인접한 곳은 왼쪽, 오른쪽, 앞, 뒤 네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의 크기와 익은 토마토들과 익지 않은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며칠이 지나면 토마토들이 모두 익는지, 그 최소 일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상자의 일부 칸에는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 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즉,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상자에 담긴 토마토의 정보가 주어진다. 하나의 줄에는 상자 가로줄에 들어있는 토마토의 상태가 M개의 정수로 주어진다. 정수 1은 익은 토마토, 정수 0은 익지 않은 토마토, 정수 -1은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출력

여러분은 토마토가 모두 익을 때까지의 최소 날짜를 출력해야 한다. 만약, 저장될 때부터 모든 토마토가 익어있는 상태이면 0을 출력해야 하고, 토마토가 모두 익지는 못하는 상황이면 -1을 출력해야 한다.




원킬 냈지만 2시간동안 헤메었다.

이유는 내가 n,m값을 바꿔서 풀고있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그리고  최적화는 알아서하자! 참고로 이 소스는 맞은사람중 26등한 소스이당!


풀고나면 간단한문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cstring>
#include <cstdio>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struct Pair{
    int x;
    int y;
};

bool visited[1001][1001];
short tomato[1001][1001];
int n,m,num_of_level;
int temp=0;

queue<Pair> que;


int bfs();

int main(){

    freopen("input.txt","r",stdin);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memset(visited, false, sizeof(visited));
    memset(tomato, -1, sizeof(tomato));

    cin>>m>>n;

    int zero, p_one, m_one; //입력될 때 각 값의 개수를 셉니다.
    zero = p_one = m_one = 0;
    num_of_level=0;
    int temp1=0;

    for(int i=0; i<n; ++i){
        for(int j=0; j<m; ++j){
            cin>>temp1;
            if( temp1>=0 ){
                tomato[i][j] = temp1;
            }

            switch (temp1)
            {
                case -1:
                    m_one++;
                    break;
                case 0:
                    zero++;
                    break;
                case 1:
                    p_one++;
                    que.push({i,j});
                    visited[i][j]=true;
                    temp++;
                    break;
                default:
                    break;
            }

        }
    }

    

    //cout<<zero<<" "<<m_one<<" "<<p_one<<"\n";

    if(p_one == n*m){ //1로 가득차 있다면 끝냅니다.
        cout<<0;
        return 0;
    }

    
    bfs();
    //cout<<num_of_level<<"\n";
    //cout<<temp<<"\n";
    
    if( m_one + temp == n*m ){ //토마토가 없는 -1개수랑, 1이었거나 1로 만든 방문한 토마토 개수의 합이 n*m면 가능한 모든 토마토를 익힌것입니다.
        cout<<num_of_level-1; //며칠이 걸렸는지 출력합니다.
    } else { //비어있는 곳을 제외한 어딘가 익지않은 토마토가 있다면
        cout<<-1;
    }
    //cout<<"\n";
    // for(int i=0; i<n; ++i){
    //  for(int j=0; j<m; ++j){
    //      cout<<visited[i][j]<<" ";
    //  }
    //  cout<<"\n";
    // }

    return 0;
}

int bfs(){

    Pair p_temp;
    int width=que.size();
    int width_temp=0;
    while( !que.empty() ){
        width_temp=0;
        for(int i=0; i<width; ++i){

            p_temp = que.front();
            que.pop();
            
            if( p_temp.x-1 >=0 && !visited[p_temp.x-1][p_temp.y] && tomato[p_temp.x-1][p_temp.y] != -1 ){
                que.push({p_temp.x-1, p_temp.y});
                visited[p_temp.x-1][p_temp.y] = true;
                width_temp++;
            }
            if( p_temp.x+1 <n && !visited[p_temp.x+1][p_temp.y] && tomato[p_temp.x+1][p_temp.y] != -1 ){
                que.push({p_temp.x+1, p_temp.y});
                visited[p_temp.x+1][p_temp.y] = true;
                width_temp++;
            }
            if( p_temp.y-1 >=0 && !visited[p_temp.x][p_temp.y-1] && tomato[p_temp.x][p_temp.y-1] != -1 ){
                que.push({p_temp.x, p_temp.y-1});
                visited[p_temp.x][p_temp.y-1] = true;
                width_temp++;
            }
            if( p_temp.y+1 < m && !visited[p_temp.x][p_temp.y+1] && tomato[p_temp.x][p_temp.y+1] != -1 ){
                que.push({p_temp.x, p_temp.y+1});
                visited[p_temp.x][p_temp.y+1] = true;
                width_temp++;
            }
        }
        width = width_temp;
        temp+=width_temp;
        num_of_level++;
    }

    return temp;

}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66 Term project  (0) 2019.04.09
7569 토마토  (0) 2019.04.04
1697 숨바꼭질  (0) 2019.04.03
1012 유기농 배추  (0) 2019.04.02
2178 미로찾기  (0) 2019.04.02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