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ef of Wealth
Published 2019. 4. 1. 22:40
1926 그림 개발/알고리즘
#include <iostream>
#include <cstdio>
#include <cstring>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struct Pair{
	int x;
	int y;
};

void check(Pair p);
Pair makePair(int x, int y);
int bfs();

int a, b;
bool picture[501][501];
bool visited[501][501];
queue<Pair> que;

int main(){

	freopen("input.txt","r",stdin);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memset(picture, false, sizeof(picture));
	memset(visited, false, sizeof(visited));

	while( !que.empty() ) {que.pop();}

	
	cin>> a>>b;

	for(int i=0; i<a; ++i){
		for(int j=0; j<b; ++j){
			cin>>picture[i][j];
		}
	}
	

	int temp;
	int max_pic=0;
	int num_pic=0;
	for(int i=0; i<a; ++i){
		for(int j=0; j<b; ++j){
			if( visited[ i ][ j ] == false && picture[ i ][ j ]==1 ){
				que.push({i,j});
				check({i,j});
				temp=bfs(); //탐색한 1의 개수를 받아옵니다.
				num_pic++; //그림의 크기를 1 증가시킵니다.
				
				max_pic = max_pic < temp ? temp : max_pic; //더 큰것을 대입시킵니다.

			}
		}
	}
	
	

	cout<<num_pic<<"\n";
	cout<<max_pic;

	return 0;
}

Pair makePair(int x, int y){
	Pair p;
	p.x= x;
	p.y =y;
	return p;
}

void check(Pair p){

	if( p.x-1 >= 0 && visited[ p.x-1 ][ p.y ] == false && picture[ p.x-1 ][ p.y ]==1){ //check up
		que.push( {p.x-1, p.y} );
		visited[ p.x-1 ][ p.y ] = true; //방문처리
	}

	if( p.x+1 < a && visited[ p.x+1 ][ p.y ] == false && picture[ p.x+1 ][ p.y ]==1){ //check down
		que.push( {p.x+1, p.y} );
		visited[ p.x+1 ][ p.y ] = true; //방문처리
	}

	if( p.y+1 < b && visited[ p.x ][ p.y+1 ] == false && picture[ p.x ][ p.y+1 ]==1){ //check right
		que.push( {p.x, p.y+1} );
		visited[ p.x ][ p.y+1 ] = true; //방문처리
	}

	if( p.y-1 >= 0 && visited[ p.x ][ p.y-1 ] == false && picture[ p.x ][ p.y-1 ]==1){ //check left
		que.push( {p.x, p.y-1} );
		visited[ p.x ][ p.y-1 ] = true; //방문처리
	}

}


int bfs(){

	int cnt_pic=0;

	Pair p;
	while(!que.empty()){
		p = que.front();

		visited[ p.x ][ p.y ] = true; //방문처리
		cnt_pic++; //1의 갯수 증가
		que.pop();
		check({p.x,p.y});
		
	}

	return cnt_pic;
}

그림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1334 664 512 47.717%

문제

어떤 큰 도화지에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 그 그림의 개수와, 그 그림 중 넓이가 가장 넓은 것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라는 것은 1로 연결된 것을 한 그림이라고 정의하자. 가로나 세로로 연결된 것은 연결이 된 것이고 대각선으로 연결이 된 것은 떨어진 그림이다. 그림의 넓이란 그림에 포함된 1의 개수이다.

입력

첫째 줄에 도화지의 세로 크기 n(1 ≤ n ≤ 500)과 가로 크기 m(1 ≤ m ≤ 500)이 차례로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1 줄 까지 그림의 정보가 주어진다. (단 그림의 정보는 0과 1이 공백을 두고 주어지며, 0은 색칠이 안된 부분, 1은 색칠이 된 부분을 의미한다)

출력

첫째 줄에는 그림의 개수, 둘째 줄에는 그 중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는 0이다.

 

 

 

거의 한 6개월 만의 BFS문제라 천천히 개념을 다시 복습해가면서 코드를 예쁘게 작성하였다.

그런데 원샷원킬 통과! 게다가 맞은사람 등수에 6위를 했다!

요즘들어 알고리즘에 회의감이 들려했는데 싹 다 사라진 기분이다.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2 유기농 배추  (0) 2019.04.02
2178 미로찾기  (0) 2019.04.02
1919 애너그램 만들기  (0) 2019.03.31
5398 키로거  (0) 2019.03.31
11328 Stfry  (0) 2019.03.30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