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관련 서적 또는 경제 신문 기사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72의 법칙이란 무엇일까?
해당 법칙은 복리 계산법으로써 원금이 2배로 불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공식이다.
예를 들어 내가 가지고 있는 목돈 1000만 원을 연 5%의 이자율 상품에 가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20년 후엔 2000만 원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위 예시처럼 동일한 조건 하에 금리가 3% 일 경우 10년 뒤면 1200만 원 밖에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이자체계는 단리 시스템처럼 일정한 금액을 지속적으로 주는 구조가 아니고
원금의 이자까지도 이자를 쳐주는 복리시스템이기 때문에 원금의 2배가 되는 기간이 조금 더 짧아진다.
즉, 짧아진 기간을 좀 더 쉽고 편하게 구할 수 있도록 나온 것이 72의 법칙이다.
위 표는 연이율 10%를 가정한다.
1억원을 각각 단리와 복리로 이자를 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1억을 연이율 10%로 굴렸을때, 10년간 이자를 모으면 2억 6,000만 원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복리의 효과에 의해서 50년후에는 1억이 117억이 된다.
72의 법칙의 핵심
72의 법칙의 핵심은
금리(%)*시간(년) = 72
이다.
금리와 시간의 값을 가지고 72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일정기간 안에 원금의 2배를 만드려면, 몇 %의 금리가 필요한지, 내가 받고 있는 금리로 원금의 2배를 만들려면 몇 년의 시간이 필요한지 쉽게 알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72라는 숫자에 맞추는 것이다.
1년에 10%금리를 가정했을 때 7.2를 곱해야 72가 되므로 7.2년에 원금이 2배가 된다는 뜻이다.
'금융,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서울주택도시공사 청약신청하는 방법 (0) | 2023.01.16 |
---|---|
공공임대주택 입주조건은? 내 집 마련 걱정 없는 행복 주택! (0) | 2023.01.16 |
최저시급 인상, 만나이 도입, 2023년 바뀌는 제도들 총정리 (0) | 2023.01.15 |
정부복지제도혜택 알림서비스(복지멤버십) 신청하는 방법 (0) | 2023.01.14 |
숨은 정부 보조금 찾아서 신청하기 | 보조금 24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