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 XML ) Ajax의 비동기적 통신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웹 브라우저는 요청을 송신하면 응답을 기다리지 않는다.2. 서버는 필요한 데이터만을 응답한다. 동작순서 1.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일어난 요청이 서버측에 송신된다.이때 요청은 XMLHttpRequest 객체에 의해 송신된다. ※ XMLHttpRequest?HTTP를 사용한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객체로, Ajax에서 데이터의 전송은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한다.XMLHttpRequest 객체의 이름에 있는 XML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 XML데이터의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이나, html,text형식의 데이터도 사용..
1)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에 응답하는 페이지의 화면 출력 시 한글처리 웹 브라우저로 응답되는 페이지를 화면에 출력할 때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처리이므로, 모든 페이지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2)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넘어오는 파라미터 값에 한글이 있는 경우 (Post) 3)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넘어오는 파라미터 값에 한글이 있는 경우 (GET) 이 경우에는 방식도 소용없다. 이런 경우에는 server.xml 파일의 한글 인코딩을 지정해야한다. 이클립스의 경우 Project Explorer -> Servers -> Tomcat v8.5 Server에 있는 server.xml이다.
JSP를 구성한느 요소 중 하나인 스크립트 요소에는 선언문/ 스크립트릿/ 표현식 등이 있다. 1) 선언문: JSP페이지에서 전역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할때 사용한다. ex) 2) 스크립트릿: JSP프로그램 처리와 관련된 코드를 기술할 때 사용. 혹시나 스크립트릿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로 쓰인다. ex) 3) 표현식: 화면에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예제코드DOCTYPE html>Insert title here 5 ){%>var1는 5보다 크다.var1는 5보 이하이다. 4) 주석 html 주석은 => 소스보기로 보임JSP 주석은 => 소스보기로 안보임java 주석은 // , /**/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에서 tomcat tar.gz 다운받고 tar -xzvf 파일 로 압축을 풀고 bin 폴더에 ./startup.sh 실행하면 localhost:8080에 접속가능 ./shutdown.sh 하면 종료가능
JSP page에서는 page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내용이 있을때, 이런 내용들을 별도의 파일에 저장했다가 JSP페이지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드가 그대로 복사되어 같이 컴파일된다. (나중에 배울 액션 태그는 결과만 같이 컴파일됨) color.jsp에 이렇게 정의해놓으면 다른 jsp에서 로 불러오기 가능.
JSP 페이지의 디렉티브 (directive)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JSP페이지가 실행될 때 필요한 정보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요한 정보를 JSP 컨테이너에게 알려서 어떻게 처리하도록 하는 지시자이다. 디렉티브는 태그 안에서 @로 시작하며, page, include, taglib 등 3가지 종류로 나뉘어 쓰인다. 1. page 디렉티브 page 디렉티브는 서버에 요청한 결과를 응답받았을 때 생성되는 페이지의 타입, 스크립트 언어, import할 클래스, 세션 및 버퍼의 사용 여부, 버퍼의 크기 등 JSP page에서 필요한 설정 정보를 표현한다. 1) info: JSP 페이지를 설명하는 문자열을 넣는다. 2) language: JSP page의 로직을 기술하는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용할 프로그래..
JSP 동적 프로젝트를 작성하면, Server폴더와 자신이 만든 jsp가 들어갈 폴더, (여기서는 test폴더라고 지칭) 가 생성된다. Server 폴더에는 이클립스의 가상환경 웹서버의 설정파일이 들어가 있고, test폴더에는 이클립스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되는 동적 웹 프로젝트 파일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Java Resourses/src 에 내부 로직을 담당하는 Servlet파일이 java형태로 저장되어 있고,WebContent 내에는 JSP파일들이 있을 것이다. 이제 JSP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UI를 통해서 어떤 jsp파일을 호출한다. 2. 웹 서버는 요청한 해당 페이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JSP컨테이너에 처리를 넘긴다. 3. 해당 JSP파일이 처음 요청..
이클립스의 WIndow -> Preference -> Server -> Classpath -> User entry에서 새로 잡아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