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형은 typescript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에러가 뜰경우 javascript.validate.enable = true로 되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javascript.validate.enable = false로 바꿔주자. vs code인 경우엔 Ctrl + ,로 javascript.validate.enable를 검색하면 바로 나온다.
가끔식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 yarn add [package명] 을 쓸 때가 있다. 그런데 잘만되던 녀석이 error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usr/local/share/.cache/yarn/v4/npm-yarn-1.15.2-7a064ca81ca34235f16376ad2f796ed432f9e285/node_modules/yarn/.yarn-metadata.json: Unexpected end of JSON input". 같은 에러를 반복적으로 반환한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위 에러를 해석해보면 yarn 의 metadata의 json파일에서 예기지 않은 input이 있다고 뜬다. 그렇기에 yarn의 metadata를 초기화시켜주면 된다. yarn cache clean 후 ..
auto increment 속성은 primary key인 컬럼에 추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mysql> create table EVALUATION( -> evaluationId varchar(20), -> userId varchar(20), -> lectureName varchar(30), -> ); 가 있다고 하자. 여기서 evaluationId에 primary key 랑 auto increment속성을 추가하고 싶으면?ALTER TABLE document MODIFY COLUMN document_id INT auto_increment위와 같은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mysql> alter table evaluation modify evaluationId int primary key;mysql>..
이 게시글은 http://hsprnote.blogspot.com/2017/03/jsp-getparameter-getattribute.html사이트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가끔씩 분명히 form으로 post해줬는데, 값이 자꾸 null인 경우가 있다. 이때는 getParameter를 getAttribute로 썼는지 체크해봐야한다.아마도 자동완성기능을 맹신하다 보면 겪게될 일이다. 차이점은 getParameter("name")는 name으로 전달받은 request의 인수를 반환하고 getAttribute("name") 은 session을 컨트롤할때 처럼 이전에, setAttribute("name", "값") 이런식으로 정의를 해놨어야 불러올수 있다.그렇지 않으면 null을 리턴한다.
JSP 로 개발하다보면 html코드들은 알겠는데, 혹은 로 감싸져 있는 코드들은 심오한 기능을 하는것 같으면서도 뭔지는 감이 잡히지 않고 낯선 기분이 느낀적이 있을 것이다. 그 코드들에 관하여 알아보자. 첫번째로 선언문 태그를 사용한다. 변수나 함수같은 것들을 선언할 수 있다.만약 에 라는 코드가 있다고 치고어딘가에 이 있을경우 태그 안에는 gogo라는 글자가 들어가게된다. 는 컴파일될때 다같은 멤버변수가 되므로, 페이지의 어느 위치에 있든 참조가 가능하여 사용되는 라인 밑에 있어도 상관없고, 또 중복가능하다. 두번째로 스크립틀릿 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바코드를 선언할 수 있다.엥? 선언문도 자바코드 넣었는데 여기도 넣으라고?선언문은 말 그대로 변수 같은 것들을 선언을 하고, 스크립틀릿은 일반 자바 소스..
eclipse 와는 다르게 vs-cdoe는 Boostrap 패키지를 제공하여 자동완성으로 좀 더 효율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제가 주로 쓰는 것들을 정리해 보았다. navbar-replacement : 기본적인 디자인이며 page의 width가 줄어 들면 압축된 아이콘을 제공한다. (navbar-toggle)button에 을 넣으면 효과적. selected-custom : 기본적인 선택옵션을 준다. 가장 무난하다. (multi속성이 안들어간거 쓰는 거 추천) 그외 추가될때 마다 올릴거고 가장 좋은 방법은 자동완성 한다음에 row-col관계를 이용해서 레이아웃은 내가 만드는 것이 가장 좋은 듯 싶다.
column count doesn't match value count at row 1은 table에 존재하는 값들의 갯수 또는 자료형이insert하고자 하는 value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거 해결하느라 시간을 많이 쓴것같다. 육안으로는 구별이 어렵다 . 예를 들어보자. mysql> desc evaluation;+-------------------+---------------+------+-----+---------+----------------+|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evaluationID ..
- 기존 테이블(table)의 컬럼(column)에 primary key 속성을 추가하는 방법.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primary key (컬럼이름) - 기존 테이블(table)의 컬럼(column)에 auto_crement/not null/primary key 속성을 추가하는 방법.이것을 해결하는데에 굉장히 오래걸렸다. 이유는 내가 >> alter table evaluation modify evaluationID varchar(50) auto_increment;를 시도했기 떄문이다. > alter table 테이블이름 modify 컬럼명 varchar(50) auto_increment; 인데 auto_increment의 자료형을 문자열 varchar(50) 으로 둬서 에러가 난 것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