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로 개발하다보면 html코드들은 알겠는데, <% %> 혹은 <%@ %>로 감싸져 있는 코드들은
심오한 기능을 하는것 같으면서도 뭔지는 감이 잡히지 않고 낯선 기분이 느낀적이 있을 것이다.
그 코드들에 관하여 알아보자.
첫번째로 선언문
<%! %> 태그를 사용한다.
변수나 함수같은 것들을 선언할 수 있다.
만약 <body>에 <h1> <%= go() %> </h1> 라는 코드가 있다고 치고
어딘가에
<%!
private String A = "gogo"
private String go(String str){
return str;
}
%>
이 있을경우
<h1>태그 안에는 gogo라는 글자가 들어가게된다.
<%! %> 는 컴파일될때 다같은 멤버변수가 되므로, 페이지의 어느 위치에 있든 참조가 가능하여 사용되는 라인 밑에 있어도 상관없고, 또 중복가능하다.
두번째로 스크립틀릿
<% %> 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바코드를 선언할 수 있다.
엥? 선언문도 자바코드 넣었는데 여기도 넣으라고?
선언문은 말 그대로 변수 같은 것들을 선언을 하고, 스크립틀릿은 일반 자바 소스코드를 넣으면 된다.
당연히 여기서도 선언이 가능하다. 너무 빡세게 구별하진 말자.
세번째로 표현식
표현식은 선언문 또는 스크립틀릿 태그에서 변수나 메소드의 값을 html에서 jsp에서 값으로 사용하기 위해 쓰인다.
<%= 변수 %>
<%=리턴값이 있는 메소드 %>
<%=수식 %>
위와 같은 문법으로 각종 html태그안에 사용할 수 있다.
반드시 표현식 안에서는 세미콜론(;)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그 구간 자체가 print()메소드의 인수로 전달받는데 세미콜론이 있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네번째로 주석문
<%-- --%>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
다섯번째로 지시자
<%@ page ~~~ %> 형식으로 쓰이고 주로 page의 정보를 지시한다. 이 정보들은 페이지가 자바코드로 변환될떄 특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리고 변수 및 함수 사용을 위해 import 하는 기능으로도 사용된다.
이제 그만알아보자
'개발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컬럼에 auto increment 속성 추가하기 (0) | 2019.03.24 |
---|---|
JSP request getAttribute()와 getParameter()의 차이점 (0) | 2019.03.21 |
Boostrap 자동완성 팁 (0) | 2019.03.17 |
mysql error : column count doesn't match value count at row 1 (0) | 2019.03.17 |
mysql 기본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