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
npm install -g json-server를 해준다.
(yarn이 아니고 npm으로 해주어야 버그없이 bash에서 환경변수로 바로사용할 수 있다.)
2. db.json 파일 생성.
관리하고 싶은 json형식으로 db.json을 생성한다.
3. 따로 node로 셋팅해줄 필요없이
json-server --watch db.json --port 3001 으로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4. 그 뒤로는 우리가 알고있는 GET/DELETE/PUT/POST등의 RESTful API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발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의 리액트 만들어보기 - 1 (초기 환경 셋팅) (0) | 2021.05.04 |
---|---|
CRA에서 env 환경변수 사용하기 (0) | 2021.05.01 |
제이쿼리가 추락하는 이유 (2) | 2021.03.17 |
[Webpack] 웹팩의 4가지 구성요소 (0) | 2021.03.16 |
[Webpack] 웹팩이란?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