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 승원이가 침입했고, 바이러스를 유출하려고 한다. 승원이는 연구소의 특정 위치에 바이러스 M개를 놓을 것이고, 승원이의 신호와 동시에 바이러스는 퍼지게 된다.
연구소는 크기가 N×N인 정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정사각형은 1×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소는 빈 칸,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
일부 빈 칸은 바이러스를 놓을 수 있는 칸이다.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모든 빈 칸으로 동시에 복제되며, 1초가 걸린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연구소가 생긴 경우를 살펴보자. 0은 빈 칸, 1은 벽, 2는 바이러스를 놓을 수 있는 칸이다.
2 0 0 0 1 1 0 0 0 1 0 1 2 0 0 1 1 0 1 0 0 0 1 0 0 0 0 0 0 0 0 2 0 1 1 0 1 0 0 0 0 0 2 1 0 0 0 0 2
M = 3이고, 바이러스를 아래와 같이 놓은 경우 6초면 모든 칸에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 벽은 -, 바이러스를 놓은 위치는 0, 빈 칸은 바이러스가 퍼지는 시간으로 표시했다.
6 6 5 4 - - 2 5 6 - 3 - 0 1 4 - - 2 - 1 2 3 - 2 1 2 2 3 2 2 1 0 1 - - 1 - 2 1 2 3 4 0 - 3 2 3 4 5
시간이 최소가 되는 방법은 아래와 같고, 5초만에 모든 칸에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
0 1 2 3 - - 2 1 2 - 3 - 0 1 2 - - 2 - 1 2 3 - 2 1 2 2 3 3 2 1 0 1 - - 4 - 2 1 2 3 4 5 - 3 2 3 4 5
연구소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모든 빈 칸에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최소 시간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연구소의 크기 N(5 ≤ N ≤ 50), 놓을 수 있는 바이러스의 개수 M(1 ≤ M ≤ 1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연구소의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 1은 벽, 2는 바이러스를 놓을 수 있는 칸이다. 2의 개수는 M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연구소의 모든 빈 칸에 바이러스가 있게 되는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바이러스를 어떻게 놓아도 모든 빈 칸에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연구소 1과 같은 방법만 안다면 간단한 문제이다.
그냥 모든 바이러스의 경우의 수를 완전탐색해주면된다.
하지만 여기엔 생각하지 못한 히든테케가 있었으니..
5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1
위 테케는 답이 0인데 -1을 출력해서 98%에서 틀리고있었다...
조건문추가해서 정답처리 완료~
import sys
import copy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rstrip().split(" "))
board = []
virus_pos = []
zero_count = 0
for i in range(n):
temp = list(map(int, input().rstrip().split(" ")))
for j in range(n):
if(temp[j] == 2):
virus_pos.append((i, j))
temp[j] = 0 # 바이러스 있는곳도 랜덤으로 위치시켜줄거니까 일단 0
zero_count += 1 # 빈공간 몇개인지 세주기
elif(temp[j] == 0):
zero_count += 1 # 빈공간 몇개인지 세주기
board.append(temp)
def bfs(n, board, virus_lists, zero_count):
# 상,하,좌,우
direction = [
(-1, 0), (1, 0), (0, -1), (0, 1)
]
newBoard = copy.deepcopy(board)
visited = [[-1]*n for _ in range(n)]
q = deque()
count = 0
for v in virus_lists: # 바이러스 먼저 큐에 넣고, 방문처리
q.append(v)
visited[v[0]][v[1]] = count
max_time = 0
available_space = zero_count - len(virus_lists) # 현재 남은 빈공간개수
while(len(q) != 0):
x, y = q.popleft()
for i in range(4):
new_x, new_y = x+direction[i][0], y+direction[i][1]
if(new_x >= 0 and new_y >= 0 and new_x < n and new_y < n):
if(newBoard[new_x][new_y] == 0 and visited[new_x][new_y] == -1):
q.append((new_x, new_y))
visited[new_x][new_y] = visited[x][y]+1 # 카운트
max_time = max(max_time, visited[new_x][new_y])
available_space -= 1 # 빈공간 1개 삭제
if(available_space <= 0): # 빈공간이 0이 되었으면
# print()
# for v in visited:
# print(v)
return max_time
# print()
# for v in visited:
# print(v)
# print(available_space)
if(available_space <= 0):
'''
예제 히든테케 통과용
5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1
'''
return max_time
return -1 # 빈공간0에 도달하지 못했음
answer = float('inf')
for s in combinations(virus_pos, m):
res = bfs(n, board, s, zero_count)
if(res != -1):
answer = min(answer, res)
if(answer == float("inf")): # 전부 -1이었던것..
print(-1)
else:
print(answer)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1725 트리의 부모 찾기 (0) | 2020.10.24 |
---|---|
[BOJ] 2210 숫자펌프 (0) | 2020.10.23 |
[BOJ] 치킨배달 파이썬 (0) | 2020.10.20 |
[BOJ] 18352 특정한 거리의 도시 찾기 (0) | 2020.10.19 |
[BOJ] 3190 뱀 (0) | 202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