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의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의 마지막에 오게되어서, 태그 탐색 등의 일을 하게 되면 n^2의 비용이 발생된다.
- document는 javascript의 전역변수이다.
즉, document라는 전역 객체에 지속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javascript의 성능저하를 일으킨다.
document에 접근할 일이 많다면, 미리 변수에 담아서 캐싱하는 것이 좀더 나은 방법이다.
const doc = window.document;
doc.querySelector('div');
'개발 > FrontEnd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eateElement와 createDocumentFragment (0) | 2021.02.18 |
---|---|
innerHTML vs appendChild (0) | 2021.02.18 |
왜 Virtual DOM이 성능 향상을 가져오는가? (0) | 2021.02.18 |
reflow vs repaint(redraw) (0) | 2021.02.18 |
Javascript Prototype에 관하여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