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과 M (2)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512 MB | 840 | 689 | 540 | 82.822% |
문제
자연수 N과 M이 주어졌을 때,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길이가 M인 수열을 모두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1부터 N까지 자연수 중에서 중복 없이 M개를 고른 수열
- 고른 수열은 오름차순이어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과 M이 주어진다. (1 ≤ M ≤ N ≤ 8)
출력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야 한다.
앞버젼 N과 M(1) 이랑 다른 점은 출력해야할 순열이
오름차순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 2 3 4 는 되나 1 2 4 3은 안되는식.
이전 글 N과M(1) 을 응용하여 이 문제를 풀어보자.
import sys
import math
sys.stdin = open("input.txt","r",encoding="utf-16")
n,m = map(int, input().split())
answer = []
for i in range(m):
answer.append("")
def cal_perm(deepness):
if deepness == m:
print( str(answer)[1:-1].replace(",","") )
else:
for i in range(1,n+1,1):
if i not in answer:
answer[deepness] = i
cal_perm(deepness+1)
answer[deepness] = -1
cal_perm(0)
위 코드를
맨 앞 인덱스 값 빼고 다른 인덱스 값들은 모두 이전 인덱스 값과 비교하여 클때만 진행하도록 조건문을 짜준다.
import sys
import math
sys.stdin = open("input.txt","r",encoding="utf-16")
n,m = map(int, input().split())
answer = []
for i in range(m):
answer.append("")
def cal_perm(deepness):
if deepness == m:
print( str(answer)[1:-1].replace(",","") )
else:
for i in range(1,n+1,1):
if i not in answer: # over lap condition
if deepness != 0: # Acending condition
if answer[deepness-1] < i:
answer[deepness] = i
cal_perm(deepness+1)
answer[deepness] = -1
else:
answer[deepness] = i
cal_perm(deepness+1)
answer[deepness] = -1
cal_perm(0)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652 N과 M(4) (0) | 2019.01.05 |
---|---|
15651 N과 M(3) 중복순열 (0) | 2019.01.05 |
15649 N과 M(1) (0) | 2019.01.05 |
11365 !terces poT (문자열 뒤집기) (0) | 2019.01.04 |
1476 날짜계산 (0) | 2019.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