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ng , StringBuffer
자바에서 문자열을 다룰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형이다.
위키북스 점프 투 자바에서 인용한 글이다.
두 개의 예제 모두 결과는 동일하지만 내부적으로 객체가 생성되고 메모리가 사용되는 과정은 다르다.
첫번 째 예제의 경우 StringBuffer 객체는 단 한번만 생성된다. 두번 째 예제는 String 자료형에 +
연산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String 객체가 생성된다(문자열 간 +
연산이 있는 경우 자바는 자동으로 새로운 String 객체를 만들어 낸다). 두번 째 예제에서는 총 4개의 String 자료형 객체가 만들어지게 된다.
※ String 자료형은 한번 값이 생성되면 그 값을 변경할 수가 없다. 이렇게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을 immutable 하다고 한다. trim, toUpperCase 등의 메소드를 보면 문자열이 변경되는 것 처럼 생각 될 수도 있겠지만 해당 메소드 수행 시 또 다른 String 객체를 생성하여 리턴할 뿐이다. StringBuffer 는 이와 반대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mutable 하다). 즉 한번 생성된 값을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조건 StringBuff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그건 상황에 따라 다르다. StringBuffer 자료형은 String 자료형보다 무거운 편에 속한다. new StringBuffer()
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일반 String을 사용하는 것보다 메모리 사용량도 많고 속도도 느리다. 따라서 문자열 추가나 변경등의 작업이 많을 경우에는 StringBuffer를, 문자열 변경 작업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그냥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다, 즉 수정이 많을때는 StringBuffer를, 수정이 적을때는 String을 쓰면된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HA256 사용하기 (0) | 2019.12.16 |
---|---|
Java Boolean to Int (0) | 2019.12.05 |
이클립스 자동완성 키 변경 (0) | 2019.11.29 |
Java Combination, Permuation 순열과 조합 (0) | 2019.11.02 |
Java Input.txt에서 입력받기 (0) | 2019.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