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지식은 확실하고 명증적인 인식이다. 많은 것을 의심하는 사람이 그것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보다 더 많은 학식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가 많은 것에 대해 잘못된 견해를 갖고 있다면, 더 적은 학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난해한 대상들에 몰두해서 참된 것을 거짓된 것에서 구별하지 못한 채, 의심스러운 것을 확실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연구를 하지 않는 편이 더 낫다. 왜냐하면 그런 경우에 지식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희망 못지않게 지식이 감소될 수 있다는 염려도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위의 규칙에 따라 단지 개연적인 인식을 모두 내던지고, 완벽하게 인식된 것 및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것만을 신뢰해야 한다. 배웠다는 사람들은 물론 이런 것이 거의 없다고 생각..
사람들은 종종 두 사물에 어떤 유사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 심지어 그것들이 실제로 서로 다른 것일 경우에도, 그 둘 중 하나만에 대해 참이라고 인정했던 부분을 두 사물에 모두 적용하는 버릇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전적으로 영혼의 인식에만 성립되는 학문들과 어떤 신체적인 연마와 소질을 요구하는 기예들을 부당하게 대비시키는 짓을 자행하고 있다. 그들은 한 사람이 모든 기예를 습득할 수 없고, 오히려 한 가지 기예에만 전념하는 사람이 보다 쉽게 훌륭한 장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한 인간의 손이 농사활동이나 하프연주 혹은 이와 유사한 여러 활동에 종사하는 것은 그 가운데 한 가지 활동에만 종사하는 것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은 학문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이들에 ..